본문 바로가기

거시경제

[HRI] 레드백, 하드커런시 되나 - 급증하는 위안화 무역결제 수요 [ 출처 : 현대경제연구소, 한재진 연구위원(2011.11.30) ] ◈ 레드백(위안화), 하드커런시 되나 - 급증하는 위안화 무역결제 수요 ※ 하드커런시(Hard Currency, 硬貨) 원래 경화란 금화, 은화와 같은 주화를 의미하며, 연화는 지폐를 가리키는데 2차대전 후에는 금의 대체효력을 가지거나 경상적 국제수지가 순조로워 그 나라의 통화가 미국의 달러화처럼 국제적으로 유통되는 통화와 직접 자유롭게 교환할 수 있는 것을 경화라 칭하게 되었고, 미국 달러화 등과 자유롭게 교환할 수 없는 국가의 통화를 연화라 한다. ※ SDR(Special Drawing Rights) 1969년 국제통화기금(IMF) 워싱턴 회의에서 도입이 결정된 국제준비통화 (대외지급을 위한 준비로서 각국이 보유하고 있는 통화) 본.. 더보기
[경제지표] 한국 2011년 3/4분기 국민소득(잠정) ☞ 한 나라의 국민이 일정 기간 생산활동에 참여한 대가로 벌어들인 소득의 합계 실질적인 국민소득을 측정하기 위하여 교역조건의 변화를 반영한 소득지표 GNI = GDP + 교역조건 변화 따른 무역손익 + 국외순수취요소소득 - 기업/가계/정부 등 모든 생산 주체가 일정 기간 만든 재화와 서비스의 가치를 모두 합한 것, 국민소득의 구매력을 나타냄 - 단순 합산시 물가 상승에 따라 GNI가 커지므로 물가변동의 영향을 제거해 산출 - GDP가 증가해도 교역조건이 악화되면 실질 GNI는 감소 - 실질 GNI가 감소하면 국민이 쓸 돈이 그만큼 줄어 체감경기는 악화됨 - 과거 GNP는 개방 경제의 국민생활 수준을 올바로 반영 못함 - 1993년 UN.. 더보기
[경제지표] 미국 11월 ISM 비제조업지수 "아쉬움 남기다" (1) 작성기관 : 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 美 공급관리자협회 (2) 발표시점 : 익월 초 (3) 발표시차 및 주기 : 시차없음, 월간 (4) 주식시장에 대한 영향 - 서비스 산업 경기를 단적으로 반영하는 지표, 제조업 지수와 더불어 증시 영향력 큼 - 서비스부문 물가상승 압력의 좋은 지표 (5) 정의 및 작성법 - 370명의 구매업자 대상, 각 산업 GDP 기여도 따른 가중치 부여, 10개 개별지수 발표 - 산업활동(Business Activity)이 가장 중요 지수 - 신규주문, 공급자 배달, 고용, 재고, 가격, 주문잔고, 신규수출주문, 수입, 체감재고 - IS.. 더보기
[금리] 3. 금리의 종류  1. 금리의 이해 2. 경기변화와 금리 3. 금리의 종류 [1] 한국은행 공정금리와 은행 대출금리 - 금융시장 : '돈을 빌려주는 거래'가 이뤄지는 곳 ex) 은행, 증권사 등 - 금융시장에서는 누가 어떤 조건으로 돈을 빌려주느냐에 따라 각기 다른 금리가 형성 - 공정금리 : 한국은행이 상업은행 등 금융기관에 돈을 빌려줄 때 적용하는 금리, 여러가지 금리 수준의 기준역할 - 대출금리 : 은행이 기업/가계에 자금을 빌려줄 때 적용하는 금리 [2] 단기금리와 장기금리 - 은행이 기업/가계에 돈을 빌려줄 때 적용하는 대출금리 중 ☞ 만기가 1년 이내 : 단기금리 ☞ 만기가 1년 초과 : 장기금리 - 신용도가 높은 기업에는 은행이 장기대출금리 가운데 가장 낮은 금리인 우대금리(Prime rate) 적용 - .. 더보기
한국 2011년 11월말 외환보유액 2011.11월말 현재 한국 외환보유액 : 3,086.3억 달러, 전월말(3,109.8억 달러) 대비 23.5억 달러 감소 이는 유로화 등의 약세로 인한 이들 통화표시자산의 미 달러화 환산액 감소에 주로 기인 2011.11월말 현재 외환보유액 유가증권 2793.5억 달러 90.5% 예치금 214.2억 달러 6.9% SDR 34.9억 달러 1.1% *IMF포지션 22.0억 달러 0.7% 금 21.7억 달러 0.7% IMF포지션 : IMF 회원국이 출자금 납입으로 보유하게 되는 교환성 통화를 수시로 인출할 수 있는 권리 11월말 현재 금 보유액은 전월말 비해 8.5억 달러 증가 2011.10월말 현재 기준 한국 외환보유액 규모는 세계 8위 더보기
[경제지표] 미국 11월 ISM 제조업지수 "5개월래 최고치" (1) 작성기관 : 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 美 공급관리자협회 (2) 발표시점 : 익월 첫째 날 (3) 발표시차 및 주기 : 시차없음, 월간 (4) 주식시장에 대한 영향 - 주식시장은 ISM 제조업지수에 대해 매우 민감하게 반응 - 향후 제조업 경기에 대한 선행지표, Fed의 경기판단에 가장 중요 참고지표 - 월간 경제지표 중 주가추이에 대한 설명력 가장 높음 (5) 정의 및 작성법 - ISM은 매달 제조업과 관련된 20개 산업을 대표하는 300명의 구매 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조사 - 지수가 50을 넘을 경우 : 경기팽창 / 50 미만일 경우 : 경기수축 - 지수는 계절조정을 거치며, 신규주문, 생산,.. 더보기
[금리] 2. 경기변화와 금리 1. 금리의 이해 2. 경기변화와 금리 3. 금리의 종류 [1] 과열된 경기를 조절하기 위해 금리 인상 ◆ 경기 상승 → 소비 증가 → 기업생산 증가 → 고용 증가 → 가처분소득 증가 → 소비 증가 → 물가 상승 ◆ 수출 증가 → 외화유입 증가 → 시중 유동성↑ → 통화가치↓ ☞ 인플레이션(Inflation) 발생! ◆ 인플레이션 발생 → 소비수요↓ → 기업생산↓ → 경기침체 ◆ 한국은행은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기 전에 대책! - 은행들에게 자금을 대출할 때 적용하는 공정금리↑, 시중통화 흡수. 즉, 경기↑ → 금리↑ - 금리↑ → 부동산담보대출 금리↑ → 가계 이자비용↑ → 소비위축/경기과열 조절 [2] 기업 자금 수요가 경기와 금리 좌우 ◆ 기업의 자금수요는 금리에 큰 영향! ◆ 생산과 소비가 다같이 활.. 더보기
[경제지표] 한국 2011년 11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 경기에 대한 기업가들의 판단, 예측 및 계획 등이 단기적인 경기변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경험을 바탕에 두고 설문서를 통해 기업가의 경기동향 판단, 예측 등을 조사하여 지수화한 것 : 기업가의 주관적 판단을 근거로 만든다는 점에서 객관적 현실을 근거로 만들어내는 다른 경기지표에 비하여 과학성은 떨어짐 : 경제 현실에서 단기적으로는 기업가의 판단과 꼐획, 현장 체감 경기가 실제 경기 향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주요 경기 예측 지표로 활용됨. 정부 정책의 파급효과를 분석하는데 활용되기도 함. ◆ 작성기관 - 한국은행(매월), 전경련(매월/분기), 지식경제부(매분기) ◆ 조사방법 및 해석 - 판단조사: 기업활동의 수준 및 변화 방향.. 더보기
[경제지표] 한국 2011년 11월 소비자동향지수 [1] 소비자동향지수란? 소비자동향지수(Consumer Survey Index; CSI)는 소비자의 경제에 대한 인식과 향후 소비지출 전망 등을 설문조사하여 그 결과를 지수화한 지표이다. 소비자의 경제상황에 대한 인식 및 전망이 실제 소비지출과 단기적인 경기변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 근거한 것이다. ● 기업경기지수(BSI): 기업경영자를 대상으로 하는 생산측면 접근방식 ● 소비자동향지수(CSI): 소비 주체를 대상으로 하는 소비측면 접근방식 [2] 주요국 및 타 기관 소비자동향지수 작성 사례 한국 일본 미국 EU 조사기관 한국 은행 통계청 삼성 경제 연구소 내각부 Conference Board Michigan Univ. EUROSTAT 조사시작 1995년 1998년 1991.. 더보기
[금리] 금리 시리즈를 시작하며 / 1. 금리의 이해  금리(interest rate)는 '돈'을 공부함에 있어 기본 중의 기본입니다. 돈의 가치를 재는 척도이기도 하구요. 고로, 돈을 벌기 위해서는 금리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는 이해하고 있어야 함은 자명합니다. 금리에 대한 글들을 정리하면서, 저 스스로도 아리송한 금리의 개념에 대해서 공부해 보고자 합니다. 아래와 같이 3회에 걸쳐 정리할 생각입니다. 1. 금리의 이해 2. 경기변화와 금리 3. 금리의 종류 [1] 금리의 의미 살다보면 남는 돈을 은행에 예금하기도 하고 빌려주기도 하지만, 반대로 부족한 돈을 빌리기도 함. 돈을 빌린 사람(은행)은 일정기간 돈을 빌려 쓴 것에 대한 대가를 지급하는데, 이를 금리 또는 이자율이라고 합니다. 한마디로 '돈을 빌린 대가로 지불하는 돈의 가격'이다. 시간이 지날.. 더보기
미국도 일본처럼 장기 불황의 늪에 빠질까? 미국 경제의 '일본화(Japanification) 가능성 평가 ◆ 글로벌 금융위기 후 미국 경제 회복 지연, 정치적 리더십 부재 -> 일부 전문가들 "미국 경제가 버블 붕괴 이후 일본처럼 저성장+디플레이션에 빠지는 일본화 가능성" ◆ 일본과 미국의 상황 유사 버블 붕괴 후 급격한 경제상황 악화, 과잉부문 조정 -> 중앙은행/정부의 비전통적 통화정책 -> 재정지출 지속적 확대 ◆ 그러나 미국의 일본화 가능성은 크지 않다 - 자산가격의 하락폭, 소비자물가 추이, 인구구조나 생산성 등 장기 성장잠재력 양호 - 미 연준의 신속 과감한 대응 ◆ 그럼에도 미국의 본격적인 경기회복을 더디게 하는 요인 - 가계부문의 부채 조정 지속 - 고용사정 개선 지연 - 대외경제 불확실성 - 민주-공화 정치적 대립으로 인한 정치 .. 더보기
[환율] 영연방국가 통화표시법 달러를 기준으로 자국통화의 가치를 표시 -> 자국통화표시법 대부분의 나라들이 기축통화인 미 달러 1단위에 대한 자국 통화의 가치를 표시하여 환율을 나타낸다. Ex) $1=₩1,100, $1=0.74€ 그러나 영국, 호주, 뉴질랜드와 같은 과거 영연방국가(the Commonwealth)들은 예전 기축 통화였던 파운드를 기준으로 쓰던 방식 그대로 자국 통화 1단위에 대한 외국통화의 값을 표시하는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 외국통화표시법 Ex) £1=$1.56, £1=₩1798.36, 1AUD=₩1137.41 더보기
[환율] 호주달러와 한국증시  * 리먼사태 후 중국은 은행대출 늘려 경기부양.(2009년 12월 통화증가율 30%까지 상승) 미국도 양적완화를 통한 확장정책 실시. 유동성 증가에 따른 자산과 물가의 인플레이션 환경 하 흥미로운 결과 도출 -> "호주 달러와 원화 가치의 추세적 동행" (한국무역협회, 2011.8) 순 위 국 가 금 액 비 중(%) 1 중 국 7,554 16.6 2 일 본 6,062 13.3 3 미 국 4,383 9.7 4 사우디아라비아 2,963 6.5 5 호 주 2,380 5.2 * 호주는 주요 수출대상국X, but 주요 수입국 / 사우디아라비아: 석유 * 호주달러 강세 -> 한국 수입물가 증가 -> 무역수지 흑자 감소 * 원화가치도 약세를 보이는 것이 합리적, but 호주달러와 원화의 동행? => 호주달러가 원.. 더보기
[원유] WTI유가 $100돌파 2011.11.17 (Market View_토러스투자증권 시황/전략 박승영) 요약 * WTI는 말레이시아 Tapis유 다음으로 황 함량이 적고 질량이 가벼워 질이 좋음. Brent유는 WTI보다 질이 조금 떨어지지만 중동산보다는 좋음. 멕시코의 Maya유가 가장 질이 떨어짐. * 오늘 아침 Brent-WTI 스프레드가 배럴당 10달러를 하회. 원래 두 원유의 가격은 비슷하고 WTI가 조금 더 비쌌지만 작년 말 올해 이후 가격이 역전된데 이어 점차 격차를 벌려나감. 올해 8월에는 스프레드가 25달러를 웃돎. * 스프레드가 축소된 이유는 세 가지. 1) 질 좋은 원유를 공급하던 리비아의 내전이 마무리되면서 리비아 원유의 대체재로서 Brent유의 프리미엄이 감소. 리비아 원유는 대부분 유럽에서 썼는데, 공급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