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먼사태 후 중국은 은행대출 늘려 경기부양.(2009년 12월 통화증가율 30%까지 상승)
미국도 양적완화를 통한 확장정책 실시. 유동성 증가에 따른 자산과 물가의 인플레이션 환경 하 흥미로운 결과 도출
-> "호주 달러와 원화 가치의 추세적 동행"
<한국 국가별 수입통계 순위> (한국무역협회, 2011.8)
* 호주는 주요 수출대상국X, but 주요 수입국 / 사우디아라비아: 석유
* 호주달러 강세 -> 한국 수입물가 증가 -> 무역수지 흑자 감소
* 원화가치도 약세를 보이는 것이 합리적, but 호주달러와 원화의 동행?
=> 호주달러가 원자재 관련 대표 통화!
* 호주는 제조업 발달 미약, 철광석, 석탄, LNG 등 원자재 수출에 의존해 경제성장.
=> "원자재 가격 상승 -> 호주 경제 성장"
* 세계 경제 안정적 성장세 -> 원자재 수요/가격 완만한 상승 -> 호주 수출증가/성장
* 호주달러 강세: 호주 원자재 수출이 호조이며, 세계 경제가 성장 중!
* 세계 최대 원자재 수입국: 중국
=> 호주달러 강세 -> 중국의 원자재 수출 증가 -> 한국 수출(대중국 비롯) 상승!
* 90년대 중반 한국 수출과 주식시장에 가장 영향을 미친 변수: 엔달러 환율
(엔화강세 -> 일본기업과 경쟁하던 한국 수출기업 가격경쟁력 상승
-> 수출/주식시장 상승)
=> 이제는 외환시장에서 엔달러 환율 보다 호주달러를 더 주목해서 봐야한다!
[출처: 2011.11. 8 '호주달러와 한국증시', 한국투자증권 김정훈]
* 리먼사태 후 중국은 은행대출 늘려 경기부양.(2009년 12월 통화증가율 30%까지 상승)
미국도 양적완화를 통한 확장정책 실시. 유동성 증가에 따른 자산과 물가의 인플레이션 환경 하 흥미로운 결과 도출
-> "호주 달러와 원화 가치의 추세적 동행"
<한국 국가별 수입통계 순위> (한국무역협회, 2011.8)
순 위 | 국 가 | 금 액 | 비 중(%) |
1 | 중 국 | 7,554 | 16.6 |
2 | 일 본 | 6,062 | 13.3 |
3 | 미 국 | 4,383 | 9.7 |
4 | 사우디아라비아 | 2,963 | 6.5 |
5 | 호 주 | 2,380 | 5.2 |
* 호주달러 강세 -> 한국 수입물가 증가 -> 무역수지 흑자 감소
* 원화가치도 약세를 보이는 것이 합리적, but 호주달러와 원화의 동행?
=> 호주달러가 원자재 관련 대표 통화!
* 호주는 제조업 발달 미약, 철광석, 석탄, LNG 등 원자재 수출에 의존해 경제성장.
=> "원자재 가격 상승 -> 호주 경제 성장"
* 세계 경제 안정적 성장세 -> 원자재 수요/가격 완만한 상승 -> 호주 수출증가/성장
* 호주달러 강세: 호주 원자재 수출이 호조이며, 세계 경제가 성장 중!
* 세계 최대 원자재 수입국: 중국
=> 호주달러 강세 -> 중국의 원자재 수출 증가 -> 한국 수출(대중국 비롯) 상승!
* 90년대 중반 한국 수출과 주식시장에 가장 영향을 미친 변수: 엔달러 환율
(엔화강세 -> 일본기업과 경쟁하던 한국 수출기업 가격경쟁력 상승
-> 수출/주식시장 상승)
=> 이제는 외환시장에서 엔달러 환율 보다 호주달러를 더 주목해서 봐야한다!
[출처: 2011.11. 8 '호주달러와 한국증시', 한국투자증권 김정훈]
'거시경제 > 환율(F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유가격 상승은 환율의 하락재료인가? 상승재료인가?(조재성, ‘환율의 역습(2011)’) (0) | 2012.03.02 |
---|---|
[HRI] 레드백, 하드커런시 되나 - 급증하는 위안화 무역결제 수요 (0) | 2011.12.07 |
[환율] 영연방국가 통화표시법 (0) | 2011.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