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거시경제/원자재(Commodities)

골드 랠리 시작할 수 있다…(2012.6.7 목) "단기적인 금 투자 고려해볼 때…"라는 글을 지난 5월 15일에 올렸었습니다. http://bunbury.tistory.com/331 그때 들었던 근거는 "미 경기 반등세가 꺾이면서 QE3 시행(또는 시행 기대감)에 따른 달러 약세-금 강세" 였습니다. 또, 금의 장기적인 상승 추세는 계속되고 있고, 조정이 있더라도 그 기간이 1년을 넘어선 적이 없었는데 현재의 조정은 9개월째 진행(5월 기준) 중이기에 반등이 가능한 타이밍이라고도 했습니다. 미 고용 및 생산 지표 실망감과 더불어 유럽은행 위기가 다시 들끓으면서, 이제는 QE3 등의 적극적인 부양방안 외에는 답이 없다는 공감대는 더욱 확산될 것이라고 판단합니다.(QE3 역시 미봉책에 불과하겠지만…) 따라서 단기적 시계로는 등락을 반복하겠지만, 중기적으로.. 더보기
단기적인 금 투자 고려해볼 때…(2012.5.15 화) 2000년대 중-후반 금값의 랠리는 눈부셨습니다. 금값이 온스당 1600 달러를 돌파한 2011년대 중반부터는 달러의 기축통화로서의 지위가 흔들리고 있다는 위기론이 부쩍 많이 등장했고, 금값은 온스당 1920 달러의 Peak를 찍게 됩니다. 하지만, 유럽에서 촉발된 재정 위기… 미국 경기의 반등 시그널이 나타나면서, '안전자산'인 달러와 미 국채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달러가치가 오르고, 금값은 다시 1600달러를 깨고 내려오게 됩니다. 하지만, 2004년 이후로 금값은 장기적인 상승 추세를 타고 있고, 조정의 기간도 최대 1년을 넘지 못했다는 점. 이번 조정이 크게 보면 작년 9월부터 이미 9개월째 진행 중이라는 것. 미국 경기 반등세가 꺾일 기미가 보이면 바로 QE3가 투입되면서, 달러 약세-금 강.. 더보기
[원자재공부] 1. 원자재 시장 이해하기 1. 원자재시장 이해하기 01 원자재란 무엇인가 1) 원자재란? - "기업이 다른 상품이나 완제품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원료, 또는 원천이 되는 상품" - "원자재", "원재료", "1차 상품", "상품" ↔ "2차 상품(완제품)" - cf. 자원: 지하자원과 천연자원 등 생산의 근본이 되는 물자를 총칭, 원자재는 자원을 가공하여 제품을 만들기 이전 그 자체 자원밀을 재배하는 땅광석원자재밀철광석원료밀가루철판완제품빵배/자동차 2) 원자재의 종류 에너지석유류(WTI, 브렌트유, 두바이유, 휘발유, 난방유, 등유 등) 천연가스류(천연가스, LNG, 프로판 등) 석탄류(석탄, 유연탄, 가탄제, 원료탄 등) 대체에너지(에탄올, 우라늄 등)금속철 귀금속(금, 은, 백금, 팔라듐 등) 비금속(석탄, 흑연, 유황, 석.. 더보기
[상품지표] 원유시장 □ 국제유가의 종류 - 세계 3대 원유 시장 : Dubai유(중동 아랍에미레이트 연방국), Brent유(영국 북해지역), WTI(서부 텍사스 중질유, 미국) (1) WTI(West Texas Intermediate) : 서부 텍사스산 중질유 - 텍사스주 서부와 뉴멕시코주 동남부에서 생산되는 석유 - 석유 가격 중 가장 중심이 되는 가격 형성 - NAFTA(북미자유무역협정)와 기타 아메리카 국가에 공급 - 이외 지역에는 수출되지 않으며 이는 차후 자원 고갈을 대비한 국가정책 - WTI는 API(미국석유협회)가 정한 비중 40도 정도의 초경질 원유(유황0.24%) - API는 원유 비중을 나타내는 지표이기도 한데, API가 33도 이상이면 경(輕)질유, 30~33도는 중(中)질유, 3.. 더보기
“금값 다 떨어졌다”(머니,2011.12.19) 더보기
2011년 와인 수입 동향과 주류 수입업체 직판허용 와인이 많이 대중화가 되었습니다. 이제는 고기집에 가면 옆 테이블에서 와인을 가져와서 코키지(corkage charge)를 내고 마시는 모습들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더군요. 저도 노량진 수산시장에서 회를 먹거나, 집에서 맛있는 음식을 해먹을 때에는 자연스럽게 와인을 곁들이게 되더라고요. 사실, 와인은 값만 비싼 된장질이라고 생각했던 것이 불과 2년 전인데, 와인에 조예가 깊으신 분^^;을 만나 이제는 제법 와인에 대해서 공부도 하고 또 나름대로 좋아하는 와인도 생기고 있는 중입니다. 이번에 관세청에서 와인 수입동향에 대해서 발표를 하였는데요. 그 자료를 한번 살펴보고, 또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주류 수입업체 직판허용'관련 기사들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 2011년 1월~10월, 와인 수입은 270.. 더보기
金, ‘황소장’ 마감? 오늘 아침 조간신문을 보다가, 금값 전망을 부정적으로 보는 기사 하나가 눈에 들어왔습니다. 데니스 가트먼이란 사설정보지 편집자(애널리스트?)의 견해인데요. 기술적분석에 근거해서 금값이 지난 9월에 사상최고치(온스당1900달러)를 기록한 후에 20%이상 하락한 것이 향후 금 약세를 의미한다고 하네요. 하지만 1년 후 금값이 다시 상승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기자가 참고한 원문 기사를 확인해봐야겠지만, 최근 금값 전망에 대한 좋은 기사들 일색인 것에 반향을 던지고자 쓴 기사일 수도 있습니다. 금값의 과거를 살펴보면 시대에 따른 기울기의 변화는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항상 우상향을 그려왔습니다. 초단기적인 수익을 바라고 금에 투자하는 투자자는 없을 것입니다. 미국과 유럽, 중국의 흥망에 따라 달러와 제2의 기축.. 더보기
[금] 금값 2000弗까지 상승 예상 이전 글에서 언급했다시피 ETF로 '금'에 베팅하려고 합니다. 덕분에, 금 관련 정보/기사는 꾸준히 모아 읽을 생각입니다. 더보기
[금] 유럽 불확실성 지속으로 금값 안정세 개인적으로, 오늘(2011.12.12)부터 금ETF(132030, KODEX 골드선물(H))에 조금씩 투자를 하려고 합니다. 현재 13,100원대의 가격을 보이고 있고, 금 현물의 가격은 온스당 1700달러 초반에 머물러 있지만 내년 중에 온스당 2,000달러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문가들이 전망하고 있습니다. 국내에는 몇몇 시중은행에 금에 투자하는 예금 상품들이 출시되어 있고, 증권사 주식계좌를 통해 금ETF(현재 3종)를 매입하는 방법으로 투자가 가능합니다. Gold steady as Europe uncertainty lingers 유럽 불확실성 지속으로 금값 안정세 7:36pm EST SINGAPORE (Reuters) - Gold traded steady on Monday, after last wee.. 더보기
[원유] WTI유가 $100돌파 2011.11.17 (Market View_토러스투자증권 시황/전략 박승영) 요약 * WTI는 말레이시아 Tapis유 다음으로 황 함량이 적고 질량이 가벼워 질이 좋음. Brent유는 WTI보다 질이 조금 떨어지지만 중동산보다는 좋음. 멕시코의 Maya유가 가장 질이 떨어짐. * 오늘 아침 Brent-WTI 스프레드가 배럴당 10달러를 하회. 원래 두 원유의 가격은 비슷하고 WTI가 조금 더 비쌌지만 작년 말 올해 이후 가격이 역전된데 이어 점차 격차를 벌려나감. 올해 8월에는 스프레드가 25달러를 웃돎. * 스프레드가 축소된 이유는 세 가지. 1) 질 좋은 원유를 공급하던 리비아의 내전이 마무리되면서 리비아 원유의 대체재로서 Brent유의 프리미엄이 감소. 리비아 원유는 대부분 유럽에서 썼는데, 공급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