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거시경제/환율(FX)

원유가격 상승은 환율의 하락재료인가? 상승재료인가?(조재성, ‘환율의 역습(2011)’) 원유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3가지 요소 (1) 달러가치 - 원유 매매시 대부분 달러 결제하므로, 달러가치가 떨어질 경우 원유 생산자는 가격보존을 위해 원유가 인상 (2) 투기수요 - 향후 원유가 상승에 베팅하는 투기 수요가 많을수록 원유가는 상승 (3) 미래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 - 원유는 세계 에너지원으로 절대적 역할 세계경제에 대한 전망에 따라 미래 원유 수요량을 예측, 원유가 방향성에 영향 원유가격 상승이 원화가치 강세를 불러오는 이유 (1) 달러가치-유가-환율 - 원유가는 달러가치(달러인덱스)와 반비례, 달러가치가 하락하는 경우 원유가 상승 - 달러가치 하락하면 원화가치 상승 - 즉, 원유가 상승의 핵심원인이 달러가치 하락에 있다면, 유가상승이 반드시 원화가치 하락(원/달러 상승)을 동반하지는 .. 더보기
[HRI] 레드백, 하드커런시 되나 - 급증하는 위안화 무역결제 수요 [ 출처 : 현대경제연구소, 한재진 연구위원(2011.11.30) ] ◈ 레드백(위안화), 하드커런시 되나 - 급증하는 위안화 무역결제 수요 ※ 하드커런시(Hard Currency, 硬貨) 원래 경화란 금화, 은화와 같은 주화를 의미하며, 연화는 지폐를 가리키는데 2차대전 후에는 금의 대체효력을 가지거나 경상적 국제수지가 순조로워 그 나라의 통화가 미국의 달러화처럼 국제적으로 유통되는 통화와 직접 자유롭게 교환할 수 있는 것을 경화라 칭하게 되었고, 미국 달러화 등과 자유롭게 교환할 수 없는 국가의 통화를 연화라 한다. ※ SDR(Special Drawing Rights) 1969년 국제통화기금(IMF) 워싱턴 회의에서 도입이 결정된 국제준비통화 (대외지급을 위한 준비로서 각국이 보유하고 있는 통화) 본.. 더보기
[환율] 영연방국가 통화표시법 달러를 기준으로 자국통화의 가치를 표시 -> 자국통화표시법 대부분의 나라들이 기축통화인 미 달러 1단위에 대한 자국 통화의 가치를 표시하여 환율을 나타낸다. Ex) $1=₩1,100, $1=0.74€ 그러나 영국, 호주, 뉴질랜드와 같은 과거 영연방국가(the Commonwealth)들은 예전 기축 통화였던 파운드를 기준으로 쓰던 방식 그대로 자국 통화 1단위에 대한 외국통화의 값을 표시하는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 외국통화표시법 Ex) £1=$1.56, £1=₩1798.36, 1AUD=₩1137.41 더보기
[환율] 호주달러와 한국증시  * 리먼사태 후 중국은 은행대출 늘려 경기부양.(2009년 12월 통화증가율 30%까지 상승) 미국도 양적완화를 통한 확장정책 실시. 유동성 증가에 따른 자산과 물가의 인플레이션 환경 하 흥미로운 결과 도출 -> "호주 달러와 원화 가치의 추세적 동행" (한국무역협회, 2011.8) 순 위 국 가 금 액 비 중(%) 1 중 국 7,554 16.6 2 일 본 6,062 13.3 3 미 국 4,383 9.7 4 사우디아라비아 2,963 6.5 5 호 주 2,380 5.2 * 호주는 주요 수출대상국X, but 주요 수입국 / 사우디아라비아: 석유 * 호주달러 강세 -> 한국 수입물가 증가 -> 무역수지 흑자 감소 * 원화가치도 약세를 보이는 것이 합리적, but 호주달러와 원화의 동행? => 호주달러가 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