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a'view

故 김근태 님을 추모하며…

 

오늘 우리가 당연하게 느끼는 '자유'는 수많은 사람들의 자기 희생과 피로 이뤄졌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그리고 그 '자유'를 억압한 사람들의 뒤를 잇고 있는 사람들이 아직도 '국회의원', '공직자', '군인' 등의 이름으로

호의호식하며 살다, 죽으면 국립묘지에 잠들고 있다는 불의한 사실 또한 결코 잊어서는 안되겠습니다.

 

 

모든 자료는 위키피디아

 

[ 고문사건 ]

 

"본인은 1985년 9월 한 달 동안, 9월 4일부터 9월 20일까지 전기고문과 물고문을 각 5시간 정도 당했습니다.전기고문을 주로 하고 물고문은 전기고문으로 발생하는 쇼크를 완화하기 위해 가했습니다. 고문을 하는 동안 비명이 바깥으로 새어나가지 않게 하기 위해 라디오를 크게 틀었습니다. 그리고 비명 때문에 목이 부어서 말을 하지 못하게 되면 즉각 약을 투여하여 목을 트이게 하였습니다(어지러운 듯 말을 중단하고 난간을 붙들면서 잠깐 쉬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9월 4일 각 5시간씩 두 차례 물고문을 당했고, 9월 5일, 9월 6일 각 한차례씩의 전기고문과 물고문을 골고루 당했습니다. 8일에는 두 차례 전기고문과 물고문을 당했고. 10일 한차례, 13일 …… 13일 금요일입니다. 9월 13일 고문자들은 본인에게

"최후의 만찬이다."

"예수가 죽었던 최후의 만찬이다."

"너 장례날이다."

이러한 협박을 가하면서 두 차례의 전기고문을 가했습니다. …… 그 다음에 9월 20일날 전기고문과 물고문을 한차례 받았습니다. 그리고 9월 25일날 집단적인 폭행을 당했으며 그후 여러 차례 구타를 당했습니다.물론 잠을 못 잔 것은 말할 필요도 없고 밥을 굶긴 것도 대략 절반쯤 됩니다. 고문 때문에 13일 이후에는 밥을 먹지 못했고 그 후유증으로 지금까지 밥을 먹지 못합니다.

... (중략) ...

결국 9월 20일이 되어서는 도저히 버텨내지 못하게 만신창이가 되었고, 9월 25일에는 마침내 항복을 하게 되었습니다. 하루만 더 버티면 여기서 나갈 수 있는 마지막 날이 된다는 것을 알았지만 더 버틸 수 없었습니다.

그날 그들은 집단폭행을 가한 후 본인에게 알몸으로 바닥을 기며 살려달라고 애원하며 빌라고 하였습니다. 저는 그들이 요구하는 대로 할 수밖에 없었고 그들이 쓰라는 조서내용을 보고 쓸 수밖에 없었습니다.

"

    — 김근태의 진술, 1985년 12월 19일 서울형사지방법원 118호 법정 서울형사지법 합의 11부(재판장 서성, 배석 김희근, 여상훈) 심리

 

 

[ 약력 ]

 

1962년 - 1965년 경기고등학교

1965년 - 1972년 서울대학교 경제학 학사

1967년 육군 보병 입대

1970년 8월 육군 병장 제대

1971년 2월 서울대 내란음모 사건 수배

1974년 긴급조치 9호 위반으로 수배

1983년 민청련 초대 의장

1985년 민청련 사건으로 구속당해 고문을 당함 (~ 1988년까지 복역)

1987년 부인 인재근과 공동으로 로버트 케네디 인권상 수상

1989년 전민련 정책기획실장, 집행위원장 역임

1990년 전민련 활동으로 구속 (~ 1992년까지 복역)

1995년 새정치국민회의의 부총재로서 정계 진입.

1996년 제15대 민주당 국회의원

1999년 국제금융박람회 추진위원회 위원장

2000년 4월, 제16대 도봉 갑 국회의원 (새천년민주당)

2001년 한반도평화와 경제발전전략연구재단(한반도재단) 이사장

2001년 11월 새천년민주당 상임고문

2002년 11월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

2003년 10월 27일 열린우리당 원내대표

2004년 4월, 제17대 도봉 갑 국회의원 (열린우리당)

2004년 보건복지부 장관

2006년 2월 18일 열린우리당 최고위원 당선

2006년 6월 10일 열린우리당 의장

2007년 6월 12일 대선 불출마 선언

2007년 8월 대통합민주신당 창당발기인 및 중앙위원

2008년 2월 통합민주당 상임고문

2011년 12월 민주통합당 상임고문

2011년 12월 30일 별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