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FO강의노트

[13] PBR(주가순자산비율)의 의미

 

▶ PBR: price to book ratio 주가순자산비율

▶ PBR = price(주가) / book value(주당순자산가치, BPS: book value per share)

▶ Book value = 총자산 – 부채

= 주주의 출자액(자본금 + 주식발행초과금) + 누적 이익잉여금 – 자기주식취득액 등

 

< 1990~2011 KOSPI지수와 KOSPI PBR >

 

▶ PBR이 1.0배를 미달: 회사의 순자산(자산-부채)에 비해 주가가 저평가

이럴 경우 자사주를 취득한 뒤 주가가 오르면 다시 팔아 시세차익을 얻는 것이 자연스러움

그러나 자사주 취득이 기업의 핵심경쟁력을 강화하는데 과연 도움이 되냐는 고민

 

V(본질가치) = B(기초장부금액) + PV of future residual income

= B + PV of (ROE – r) X B

 

If V = P(주가)라면, (주가가 기업의 본질가치와 평균적으로 동일하다고 가정)

 

P = B + PV of (ROE – r) X B → 양변을 B로 나누면

PBR = P/B = 1 + PV of (ROE – r)

PBR = 1 + 미래초과수익률(ROE – r)의 현재가치

 

● 만일 ROE – R = 0 (즉 미래 초과이익 = 0), PBR = 1

● 만일 ROE – R > 0 (즉 미래 초과이익 > 0), PBR > 1

● 만일 ROE – R < 0 (즉 미래 초과이익 < 0), PBR < 1

 

▶ 회사의 PBR이 1.0배보다 높다는 것은 회사가 창출하는 ROE가 주주 요구수익률(r) 이상일 것으로 시장에서 믿어준다는 의미. 즉 회사가 주주요구수익률 이상으로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었다고 시장에서 믿을 때 PBR이 1.0배를 넘게 됨.

 

▶ PBR이 1.0배를 미달하는 회사 경영진의 의사결정

(PBR < 1.0 → 시가총액 < 순자산인 경우)

→ 자사주 취득: 순자산을 줄여 ROE 높이는 효과, 그러나 본질적인 경쟁력 향상 방안 X

→ 초과이익 창출 위한 전략 점검

1) 고부가가치 상품과 용역 제공

2) 한정된 자원의 효율적 배분

3) 자본조달비용 낮추기 위한 투명성향상, 지배구조개선 포함 기업문화개선

'CFO강의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 가치평가의 기본: 배당할인모형  (0) 2012.12.20